천식은 천명(숨쉴 때 발생하는 휘파람 소리), 가슴 답답함, 호흡곤란, 기침의 증상을 반복적으로 일으키며, 기침은 종종 밤이나 이른 아침에 발생합니다.
천식은 모든 연령대의 사람들에서 발생할 수 있으나, 소아에서 가장 빈번하게 시작됩니다. 때때로 천식은 미약하여 저절로 사라지거나 또는 천식 약으로 최소한의 치료를 한 후에 사라지는 경우가 있습니다. 혹은, 오히려 증상이 지속적으로 더 악화될 수도 있습니다. 증상이 더 심해지거나 부가적인 증상이 발생한다면, 이는 천식발작(attack)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 천식발작은 천식 악화(exacerbation)라고 불리기도 합니다.
처음 천식 증상을 인식하였을 때 바로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며, 이는 증상이 더 악화되거나 중증의 천식발작이 발생하는 것을 막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 중증의 천식발작은 응급치료를 필요로 할 수 있으며, 사망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.
증상과 징후
천식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습니다. 여러 요인들(가족 유전자 및 특정 환경의 노출)이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여 천식을 유발시키며 대개 소아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
처음 천식 증상을 인식했을 때 증상을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이는 천식의 증상이 악화되거나, 중증의 천식 발작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. 중증의 천식 발작은 응급치료를 요구할 수 있고, 사망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.
천식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과거력 문진, 신체검진, 폐기능 및 기타 검사 등을 하게 되는데, 5세 이전의 소아의 경우 기도가 작고 다른 질환과 증상이 유사하며 폐기능 검사가 어려워 천식을 진단하기가 쉽지 않습니다.
천식은 완치되지 않기 때문에 장기간의 치료를 요구하는 만성적인 질환입니다. 천식 치료의 목표는 질병을 잘 조절하는 것이며, 이를 위해서는 담당 의사와 능동적으로 협력 하여 천식 관리 방법을 배우고 천식을 악화시키는 요소들을 피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.
Reference :
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> Health Information for the Public > Asthma. Available online at http://www.nhlbi.nih.gov/health/dci/Diseases/Asthma/Asthma_WhatIs.html Accessed on 26. Sep, 2011
본 컨텐츠는 미국의 비영리 단체인 National Heart, Lung and Blood Institute (NHLBI)가 제작한 것으로서 한국 엠에스디는 NHLBI 의 허가를 얻어 자료를 번역하였습니다. 본 컨텐츠에서 제시되는
의견이나 정보는 한국 엠에스디의 공식입장이 아니며, 한국 엠에스디는 그에 대하여 어떠한 보증이나
책임을 부담하지 않습니다. 본 컨텐츠 를 통하여 제공되는 의견이나 정보가 의사의 진단이나 처방을 대신할 수 없으며, 질환에 대한 치료는 의사와의 상담을 통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.
RESP-1011620-0004 09/2013